링크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82

 

코딩테스트 연습 - [1차] 다트 게임

 

programmers.co.kr


 

문제

 


풀이
  1. 다트 게임은 총 3번의 기회로 구성된다.
  2. 각 기회마다 얻을 수 있는 점수는 0점에서 10점까지이다.
  3. 점수와 함께 Single(S), Double(D), Triple(T) 영역이 존재하고 각 영역 당첨 시 점수에서 1제곱, 2제곱, 3제곱 (점수1 , 점수2 , 점수3 )으로 계산된다.
  4. 옵션으로 스타상(*) , 아차상(#)이 존재하며 스타상(*) 당첨 시 해당 점수와 바로 전에 얻은 점수를 각 2배로 만든다. 아차상(#) 당첨 시 해당 점수는 마이너스된다.
  5. 스타상(*)은 첫 번째 기회에서도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스타상(*)의 점수만 2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6. 스타상(*)의 효과는 다른 스타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스타상(*) 점수는 4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7. 스타상(*)의 효과는 아차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아차상(#)의 점수는 -2배가 된다. (예제 5번 참고)
  8. Single(S), Double(D), Triple(T)은 점수마다 하나씩 존재한다.
  9. 스타상(*), 아차상(#)은 점수마다 둘 중 하나만 존재할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조건을 하나씩 적용하겠습니다.

1. 다트 게임은 총 3번의 기회로 구성된다.

총 3개의 값을 구합니다.

 

2. 각 기회마다 얻을 수 있는 점수는 0점에서 10점까지이다.

입력 받는 점수 범위는 0~10 입니다.

 

3. 점수와 함께 Single(S), Double(D), Triple(T) 영역이 존재하고 각 영역 당첨 시 점수에서 1제곱, 2제곱, 3제곱 (점수1 , 점수2 , 점수3 )으로 계산된다.

S : 1제곱 

D : 2제곱

T : 3제곱

 

4. 옵션으로 스타상(*) , 아차상(#)이 존재하며 스타상(*) 당첨 시 해당 점수와 바로 전에 얻은 점수를 각 2배로 만든다. 아차상(#) 당첨 시 해당 점수는 마이너스된다.

* : 현재 점수, 이전 점수 X 2

# : 현재 점수 X (-1)

 

5. 스타상(*)은 첫 번째 기회에서도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스타상(*)의 점수만 2배가 된다.

* : 이전 점수가 없다면 현재 점수만 X 2

 

6. 스타상(*)의 효과는 다른 스타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스타상(*) 점수는 4배가 된다.

4, 5번 조건을 적용해주면 6번도 해결됩니다.

 

7. 스타상(*)의 효과는 아차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아차상(#)의 점수는 -2배가 된다.

4, 5번 조건을 적용해주면 7번도 해결됩니다.

 

8. Single(S), Double(D), Triple(T)은 점수마다 하나씩 존재한다.

3번의 다트 점수 중 S, D, T 은 하나씩 존재하므로 중복 체크 없이 구현하면 됩니다.

 

9. 스타상(*), 아차상(#)은 점수마다 둘 중 하나만 존재할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3번의 다트 점수 중 *, # 조건이 있을때 적용하면 됩니다.


위의 설명대로 하나씩 구현하면 됩니다.

dartResult : 1S2D*3T

받은 dart 값을 나눠보면

1S

2D* (현재 점수와 이전 점수 X 2) -> 위의 1S도 X 2 

3T

이렇게 볼 수 있고

1^1 * 2

2^2 * 2

3^3

이렇게 완성됩니다.

반환은 3개 점수 합 입니다.


 

위의 로직 구현

class Solution {
	
	/**
	 * 카카오 다트 게임
	 * @param dartResult
	 * @return
	*/
	public int solution(String dartResult) {

		int count	= dartResult.length();
		int bonus 	= 0;
 		int[] arr 	= new int[3];
		int arrCnt 	= 0;
		for (int i = 0; i < count; ++i) {
			char ch =  dartResult.charAt(i);
			if (ch == 49) {
 				if (dartResult.charAt(i+1) == 48) {
					ch = 58;
					++i;
				}
			}
    		
			//옵션 로직
			switch(ch) {
			case '*':
				arr[arrCnt-1] *= 2;
				if (arrCnt-1 > 0) arr[arrCnt-2] *= 2;
				continue;
			case '#':
				arr[arrCnt-1] *= (-1);
				continue;
			}
    		
			//제곱 로직
			switch(dartResult.charAt(i+1)) {
			case 'S':
				bonus = 1;
				break;
			case 'D':
				bonus = 2;
				break;
			case 'T':
				bonus = 3;
				break;
			}
    		
			arr[arrCnt] = (int) Math.round(Math.pow(ch-'0', bonus));
			++arrCnt;
			++i;
		}
		return arr[0]+arr[1]+arr[2];
	}  
}


후기

* 난이도 (5점 만점)

5 : 풀 줄 알면 기업 코딩테스트는 문제 없음.

4 : 평균적인 기업 코딩테스트의 중간 이상.

3 : 평균적인 기업 코딩테스트의 쉬운 문제 .

2 : 알고리즘 문제를 연습하고 있다면 풀 수 있는 문제.

1 :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고, 누구나 풀 수 있는 문제.

 

난이도는 생각보다 쉬운 편이었으며 문제를 이해하고 천천히 풀면 충분히 풀 수 있다.

어려운 기술이 들어간 것은 없고, 말 그대로 문제 내용을 하나씩 구현한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