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저와 그 작동 원리

브라우저는 인터넷을 통해 웹페이지를 검색하고 표시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사용자가 웹 주소를 입력하거나 링크를 클릭하여 특정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HTML, CSS, JavaScript 등의 웹 기술을 해석하여 웹페이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브라우저의 창, 주소 표시줄, 뒤로/앞으로 버튼 등 사용자가 상호 작용하는 부분을 포함합니다.

브라우저 엔진

브라우저 엔진은 HTML 및 CSS를 해석하고 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으로는 Blink(크롬), Gecko(파이어폭스), WebKit(사파리)이 있습니다.

렌더링 엔진

렌더링 엔진은 HTML 문서를 파싱하고 DOM(Document Object Model) 트리를 구성하며, CSS 파일을 해석하여 렌더 트리를 생성합니다. 이후에는 렌더 트리를 기반으로 화면에 콘텐츠를 표시합니다.

자바스크립트 해석기

브라우저는 JavaScript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JavaScript 엔진을 내장하고 있습니다. 이 엔진은 JavaScript 코드를 해석하고 실행하여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통신

브라우저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HTTP 요청을 보냅니다. 이를 통해 웹 서버에서 HTML, CSS, JavaScript, 이미지 및 기타 리소스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UI 백엔드

UI 백엔드는 기본적인 UI 요소를 그립니다. 이는 네이티브 운영 체제의 기능을 사용하여 창, 버튼 및 대화 상자와 같은 요소를 그리는 것을 말합니다.

자바스크립트 엔진 바깥 영역

브라우저에는 JavaScript 실행 환경 외의 여러 가지 기능이 있습니다. 이는 브라우저의 쿠키 처리, local storage, 웹 워커 등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함께 작동하여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요청하고 이를 보여주는 과정을 완성합니다.

브라우저는 웹사이트를 불러오고 렌더링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는 브라우저를 통해 웹페이지를 탐색하고 인터넷 서핑을 할 수 있습니다. 
유명한 브라우저로는 구글 크롬, 모질라 파이어폭스, 애플 사파리,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오페라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브라우저들은 각자의 특징과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과 요구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의 작동 원리

오늘은 인터넷의 작동 원리에 대해 알아볼 것입니다.

인터넷은 전 세계 컴퓨터 네트워크가 서로 연결되어 정보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글로벌 네트워크 시스템입니다.
월드 와이드 웹(WWW), 이메일,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 인스턴트 메시징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와 기술을 통해 사람들이 정보를 검색하고, 소통하며,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인터넷은 과학, 교육, 정부, 비즈니스,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전세계 사람들이 당연히 쓰고 있지만 대부분 작동 원리에 대해 깊게 생각해보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인터넷은 매우 복잡한 시스템이지만, 기본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패킷 교환 네트워크

인터넷은 패킷 교환 네트워크로 구성됩니다. 이는 데이터를 작은 조각인 패킷으로 나누고, 이러한 패킷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IP 주소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사용하여 모든 디바이스에는 고유한 식별자인 IP 주소가 할당됩니다. IP 주소는 패킷이 목적지로 라우팅되는 데 사용됩니다.

라우터와 스위치

인터넷은 라우터와 스위치와 같은 장비들의 네트워크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장비들은 패킷을 전달하고 다른 네트워크로 라우팅하는 역할을 합니다.

TCP/IP 프로토콜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및 인터넷 프로토콜(IP)과 같은 프로토콜은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TCP는 연결 지향 프로토콜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고, IP는 패킷을 라우팅합니다.

DNS(Domain Name System)

DNS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시스템입니다. 사용자가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DNS는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를 찾아서 사용자를 원하는 웹사이트로 연결합니다.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인터넷은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이 요청에 대한 응답을 보냅니다.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웹은 인터넷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웹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요청을 보내는 클라이언트 역할을 합니다. 웹 서버는 요청을 받고 해당하는 웹 페이지나 리소스를 제공하는 서버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이 함께 작동하여 인터넷이 동작합니다. 데이터는 패킷으로 나뉘어 전송되고, 라우터 및 스위치를 통해 목적지로 라우팅되며,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전송됩니다. 사용자는 DNS를 통해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여 웹사이트에 연결하고,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통해 웹 페이지를 요청하고 받습니다.

+ Recent posts